내 맘대로 번역! 프로가 아니라 오역 및 실수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대략 4,000~5,000년 전에 중국에서 만들어진 최초의 젓가락은 요리를 위한 도구였으며(뜨거운 물이나 기름이 가득 찬 냄비에 닿기 가장 좋은 도구다), 잔가지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정확한 시기를 고정하기는 어렵지만, 기원전 500~400년 정도까지는 식기로 사용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변화를 가져온 요인 중 하나는 여러 국가에 걸친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이다. 결과적으로 요리 재료 자체가 심각하게 부족해졌다. 그리고 이로 인해 사람들은 음식을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 더 빠르게 요리하기 시작했다.
한 입 크기의 음식들은 너무 작아 자를 게 없었기 때문에 테이블 나이프를 쓸모가 없는 물건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젓가락으로 먹기에는 완벽했고 또 젓가락은 값싼 재료로 쉽게 만들 수 있었다. 그리고 이리하여, 트렌드가 탄생한 것이다.
이 시기 해당 지역에서 테이블 나이프의 쇠퇴는 채식주의자였던 공자의 가르침 때문이기도 하다. 그는 나이프가 식사를 하기에 적절한 도구가 아니라고 믿었다. 공자는 말했다.
"군자는 주방과 도살장을 멀리 한다."
이는 또한 중국의 젓가락이 전통적으로 끝이 뭉툭해 포크처럼 음식을 찍어 먹는 게 어렵기 떄문이기도 하다.
한 세기 이내로 젓가락은 일본이나 한국, 베트남 같은 다른 아시아 국가들로 전파되었다. 일본과 중국 젓가락의 차이점은 일본에서는 젓가락을 대나무로 만든다는 것이다. 또한 일본에서는 젓가락이 전통적으로 종교의식에서만 사용되었다. 이런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젓가락은 양국에서 여전히 가장 기초적인 식사 도구로 남아있다.
초기에 젓가락은 대나무처럼 저렴한 도구들로 만들어졌지만, 이후 왕조 시절 음식물의 독을 막기 위해 은 젓가락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어째서인가? 이는 사람들이 은 젓가락이 독극물에 닿으면 검게 변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불행히도 은은 청산가리나 비소 같은 독극물에 닿았을 때 색이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은은 마늘이나 양파, 혹은 썩은 계란에 닿으면 색이 변한다. 이 재료들은 모두 은의 색이 변하도록 만드는 황화수소를 방출하기 때문이다.
젓가락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본 이들이라면 왜 이런 도구를 음식물을 섭취하는 데 사용하는 것인지 의문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아마도 초기에 발명된 도구 중 하나인 숫가락이 더 낫지 않은가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시아에서 보통 주식으로 사용하는 미디엄 그레인 종의 쌀은 끈적끈적하고 투박하다. 따라서 젓가락으로도 집기가 쉬운 편이다. 이와 비교하면 서양에서 주로 섭취하는 롱 그레인 쌀은 더 부드러운 편이며, 개개의 낱알이 흩어져서 숙달되지 않고는 젓가락으로 먹기가 어려운 편이다.
======================================
http://www.todayifoundout.com/index.php/2013/12/asian-nations-use-chopsticks/
Why Do Asian Nations Use Chopsticks?
TJ asks: Why do people in Asia use chopsticks? Created roughly 4,000-5,000 years ago in China, the earliest versions of something like chopsticks were used for cooking (they’re perfect for reaching into pots full of hot water or oil) and were most likely m
www.todayifoundout.com
'영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베이에 관한 12가지의 신기한 사실들 (0) | 2020.03.14 |
---|---|
축구(Soccer)라는 단어의 기원은 어딜까? (0) | 2020.03.13 |
[해외 반응 / 유튜브] 한국 수능을 본 외국인들의 반응은? - 영국남자 (0) | 2020.03.11 |
클로이 모레츠 주연 영화 렛미인 - 너는 몇 살이니? (스포일러) (0) | 2020.03.11 |
'이건 니 베스파에 달아놔라'는 영어로 뭘까? (0) | 2020.03.09 |